1. 리터럴(literal) : 데이터 값 자체
ex) 아래식에서 오른쪽 값
int i = 3;
double d = 3.14;
char c = 'a';
String s = "hello";
boolean b = true;
2. 데이터 저장은?
- 정수 : 2진수로 저장 (음수는 2의보수) << 개념만 이해하자
- 실수 :
- 부동소수점 -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(floating-point) 수를 표현하는 방식
- $(−1)^{부호}\times가수\times밑^{지수}$
- 부동소수점의 오차
- 1.1234566123124 - 1.1234566123124 ≤ 0.01
- (차이가 0아니라는 개념하고 방법만 이해하고 있자)
- 문자 : 아스키코드 / 유니코드
3. 변수 : 변할 수 있는 수 자체가 아니라 그 수를 저장하는 공간
- 변수 정의 : 자료형 + 변수 이름
ex) int count; / char alpha; / float avg; / boolean isMember; / String name;
- 변수 이름 방법 : 가독성, 일관성, 유지보수
- 변수 이름 규칙 : 영문자,숫자,_,$로만 구성 / 숫자로 시작안됨 / 이름사이 공백안됨 / 정의된 키워드나 예약어 안됨
4. 상수 : 변하지 않고 고정된 값을 담는 변수
ex)
final double PI_CONST = 3.14;
PI_CONST = 3.141592; // error
5. 변수 사용시 주의사항
- 변수는 초기화가 되어야 사용할 수 있음
-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는 사용할 수 없음
ex)
// 컴파일 에러
int num; // 변수 num 선언 (초기화 안됨)
int add = num + 10; // 변수 num 값을 읽고 10을 더한 결과값을 변수 add에 저장
// 변수는 초기화해야 사용할 수 있음
int num = 30; // 변수 num은 30으로 초기화됨
int add = num + 10; // 변수 num을 읽고 10을 더한 결과값 (40)을 변수 add에 저장
'필수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all by reference의 의미 (0) | 2022.10.07 |
---|---|
enum 사용시 기억할 점 (0) | 2022.10.07 |
조건문, 랜덤값,반복문 실수하는 부분들 (1) | 2022.09.30 |
입출력 메소드 / 자료형 변환 / 연산자에서 자주쓰는 것 (1) | 2022.09.30 |
자바 기초 (0) | 2022.09.22 |